주식 용어 알아보기 : ROE, BPS, PBR
주식 투자 용어 알아보기 : PER, EPS의 개념, 계산 방법
목차 1. PER ( Price Eranings Ratio, 주가 수익률 ) - PER 개요 - 계산방법 - PER에 대한 의견 2. EPS (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 - EPS 개요 - EPS에 대한 의견 주식을 하다보면 EPS, PER, BPS, PBR, ROE, CAPEX, FCF, OCF
imzm.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PER, EPS에 대해 알아보았다.
PER는 낮을수록, EPS는 높을수록
주목할 가치가 있다.
오늘은 ROE, BPS, PBR에 대해 알아보자.
1. BPS, PBR, ROE 요약
2. BPS, PBR, ROE 정리
■ BPS : 수당 순자산 가치
- 1주당 순자산 환산 지표
- 주가와의 상관관계 높지 않음
■ PBR : 주가 순자산 비율
- 자산 대비 주가
- PBR이 1배인 경우, 회사 처분시 투자금 회수는 가능
- PBR은 낮으면 좋음(너무 낮은 경우는 주의 필요)
- BUT, 무형자산(기술력, 브랜드가치 등) 및 부채는 반영하지 않음
⇒ ex. 바이오 기업의 경우 무형자산(기술)은 많을 수 있지만 순자산이 적으므로 PBR높은 경향 있음
⇒ 동일 업종별 비교 필요
■ ROE : 자기 자본 이익율
- 높을수록 자본 대비 이익↑ ( = 돈을 잘 벌고 있음)
- 워런 버핏 : "ROE 15% 이상, 3년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회사에 투자해야."
- ROE는 높으면 좋음
- BUT, 당기순이익은 비영업적 지표도 포함
⇒ ex. 회사 자산 매각 등
3.BPS, PBR, ROE 결론(EPS, PER포함)
- EPS & ROE 높을수록 , PER & PBR 낮을수록 좋음
- 업종별 기준이 상이하며, 수치상 기록되지 않는 부분(무형)이 있음.
⇒ 투자 시 참고용으로 사용
⇒ 구체적인 내용은 재무제표를 통해 확인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