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자2

반도체에서 열적평형(Thermal equilibrium) 안녕하세요. 균짱짱입니다. 오늘은 반도체에서의 열적 평형에 대해 알아볼게요. 목차 1. 열적평형 2. 반도체에서의 열적평형 1. 열적평형 반도체에서의 열적평형을 알아보기 전에, 열적평형이 뭔지부터 알아야겠죠? 열적평형은 열역학 제 0법칙을 따르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이 상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 가능한 상태(거시 상태)에 변화가 없고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로 정의 됩니다. 열역학적으로는 엔트로피가 극대인 상태를 말하구요, 통계역학적으로는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가 같게 된 상태입니다. 즉, 압력이 같고 온도가 같으며 화학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일컫습니다. 다만, 이 안정된 상태의 의미가 '물질에 아무 변화가 없다'라는 것이 아니라, 관찰 상태에 변화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서, 1에 1을.. 2020. 10. 18.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 기초 ① 반도체 ? ② 원자 & 전하 & 전자 ■ 반도체 ? 반도체(Semiconductor)는 도체와 부도체의 성질을 모두 띈 물질입니다. 물질에 가해진 전압, 열 또는 조사된 빛의 파장에 따라 즉, 상황에 따라 전기전도도(성질)가 변하는거죠. 이러한 변하는 성질을 응용한 반도체로 포토다이오드, LED, 증폭기 등이 있어요. 진성반도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는데요, 이는 물질내의 공유결합이 약해지고 따라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캐리어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Cf. 공유 결합(Covalent bonding) 원자는 최외각 전자가 8개일때 가장 안정합니다. 이를 옥텟 규칙(Octet rule)이라고 하는데요, 원자와 전자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확인할게요. 최외각 전자는 원자의 가장 .. 2020. 8.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