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모저모

주식 이동평균선 이해하기 2. 이평선 분석(방향성, 배열도)

지각쟁이 2021. 7. 25. 21:24
728x90
반응형

지난번에 주식의 기술적 분석에서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의 개념을 알아 보았다.

 

주식 이동평균선(이평선) 이해하기 1. 이평선 개념

 

주식 이동평균선(이평선) 이해하기 1. 이평선 개념

주식의 흐름을 예측하고 그 흐름에 맞추어서 주식을 사고 파는 것. 모든 주식투자자들의 목표라고 할 수 있겠다. 과거의 흐름을 보면 현재의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imzm.tistory.com

 

오늘은 이평선을 사용해서

어떻게 주식을 분석할 수 있는지를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자.

 


목차

1. 방향성 분석

2. 배열도 분석


1. 방향성 분석

방향성 분석은 말 그대로

이동평균선의 방향을 보고

시장에 매수를 할지, 매매를 할지 정하는 것이다.

 

단기 이동평균선일수록

현재의 추세더 잘 나타내지만

그것이 상승 또는 하락의 변화인지

혹은 기존의 방향에서 잠시 주춤하는 것인지는

알아보기 쉽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일자의 이동평균선을

함께 볼 필요가 있다.

21년 7월 21일의 LG화학의 차트이다.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이평선이 그려져 있으며

모든 그래프가 전체적으로 횡보중이지만

그중에서도 하락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승장의 경우 5일, 10일, 60일 순서로

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양이 된다.

 

하락장의 경우 5일, 10일, 60일 순서로

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음이 된다.

 

이를 배열도 분석과 연결지을 수 있는데

배열도 분석은 아래쪽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다.

 

따라서, 5일(단기), 10일(중기), 60일(장기) 이평선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전환되는 시점,

혹은 어느 만나는 시점에서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SK케미칼(우)의 그래프이다.

여기서 빨간색선이 나타내는 시점이

모든 이평선의 기울기가

마이너스가 되는 시점으로 볼 수 있으며

이때부터 하락이 급격히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다시 크로스 분석으로 연결되는데

크로스 분석도 따로 다루어 보겠다.

 

2. 배열도 분석

배열도 분석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

어떻게 배열돼 있는가를 보는 것이다.

 

 

배열은 정배열,

혹은 역배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배열은 위에서부터

단기, 중기, 장기 순서로 분포된 상태이다.

 

위의 그림은 삼성SDI의 21/7/5일 분석표이다.

여기서 최근 주가 및 이평선을 보면

주가 > 단기이평선 > 중기이평선 > 장기이평선 순이므로

단순하게 보면 상승을 예상할 수 있다.

 

역배열은 위에서부터

장기, 중기, 단기 순서로 분포된 상태이다.

 

주식시장에서 배열도는 일반적으로

정배열 → 열배열 → 정배열이 순환하게 되며

이 기본적인 규칙을 토대로

주식이 앞으로 올라갈지 혹은 내려갈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평선 분석에 있어서

어떤 방법이 절대적이다, 혹은 더 낫다.

라고 말할 수 없다.

 

모든 방법들이 주식분석에 복합적으로 사용되며

이 기술적 분석들이

기업의 가치분석과 결합될때

 

주린이를 탈출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다음번에 지지선, 저항선,

크로스, 이격도 분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