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복소수1 복소수 기초 복소수는 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실수만 고려하면 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모든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도록 도입한 상상의 숫자이다. 복소 평면(가우스 평면) 일반적으로 i 또는 j 로 표시하며 복소수를 좌표계에 표시할 때는 복소평면을 사용한다. 이때, x축(Re)은 실수부(Real number), y축(Im)은 허수부(Imaginary number)를 나타낸다. 켤레 복소수 복소수 z=x+jy에 대해 x-jy를 z의 켤레복소수라고 하며 이를 , 바z로 나타낸다. 복소수의 극형식(절대값, 편각(argument)) 복소수는 극 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는 복소수Z의 크기(절대값)와 Z와 실수부가 이루는 각도(θ, 위상각(phase angle))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복소수 Z의 .. 2021. 1. 2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