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모저모

삼성SDI,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결정 : 긍정, 부정적 요소 및 전망

by 지각쟁이 2025. 3. 16.
728x90
반응형

2023년 중순부터 주가가 곤두박질치던

삼성SDI가 지난 금요일(2025.3.16)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면서

하루만에 6% 가량 하락하며

신저가를 기록했다.

 

 

 

삼성SDI, 2조원 실탄 확보는 '슈퍼사이클' 아닌 '혹한기' 대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SDI가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전기차 배터리 성장 둔화와 점유율 하락 속에서 공격적 확장이 아닌 '혹한기 대비' 차원의 전략적 선택으로 분석된다. 삼성SDI는 그동안 내부 유보..

www.thelec.kr

 

2024년 1분기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매출 및 출하량 점유율 순위
2024년 3분기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매출 및 출하량 점유율 순위

 

24년 1분기에 비해

매출액이나 출하량이 줄어든건

시장상황 때문이라 차치하더라도 

차지하는 비율까지 줄었다.

 

사실 뭐 SDI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럽 전기차 시장이 둔화한게 클수는 있겠지만

아쉬운 소식이긴 하다.

 

다시, 기사로 돌아가서

이번 유상증자로 들어갈 금액은

배터리 생상능력을 늘리는데 쓸 예정이라고 한다.

 

현 생산능력에 한계가 있긴 한 만큼

장기적으로 보면 긍정적인 요소가

없진 않을것으로 보이기도 하다.

 

부정적 측면

   - 주가 희석 우려 : 기존 주주의 지분 가치가 낮아질 가능성

         → 발표 직후 주가 7% 하락, 52주 신저가 기록

   -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 가속화

   - 전기사 수요 둔화 시, 투자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 가능(트럼프의 정책 주의)

 

긍정적 측면

   - 배터리 생산능력 확대 및 이를 통한 시장 점유율 증가

         →  IRA혜택 확보를 위한 필수 투자(트럼프의 정책에 따른 변수 존재)

   - 공장 증설에 따라 생산 효율성 증대 및 원가 절감 가능

         →  경쟁력 확보 가능

 

수혜주

   -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소재 공급 협력사들의 납품량 증가 가능

         → 제조 장비 납품 업체 : 피엔티, 필에너지, 엠오티, 원익피앤이, 씨아이에스 

         →  소재 공급 업체 : 에코프로, 엘엔에프, 포스코퓨처엠 등

 

여기서 납품 업체 관련주는 발표 후 올랐다.

 

소재 공급업체는 아직 오르지 않았지만

공장이 증설될 때쯤 오를 수도 있지 않을까?

 

 피해주

   -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경쟁 배터리 기업 : 삼성SDI의 점유율 확대 시 시장 결쟁 심화

   - 삼성SDI 기존 주주 : 주식은 아니지만 단기적으로 피해를 받았다 이미.

 

 결론

   -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 불가피

   - 배터리 관련 소재, 장비 기업에는 긍정적일 가능성 높음

   - 삼성SDI의 경쟁력 강화 여부가 중요(향후 실적 발표 체크 필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