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수는 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실수만 고려하면 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모든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도록 도입한 상상의 숫자이다.
복소 평면(가우스 평면)
일반적으로 i 또는 j 로 표시하며 복소수를 좌표계에 표시할 때는 복소평면을 사용한다.
이때, x축(Re)은 실수부(Real number), y축(Im)은 허수부(Imaginary number)를 나타낸다.
켤레 복소수
복소수 z=x+jy에 대해 x-jy를 z의 켤레복소수라고 하며 이를 , 바z로 나타낸다.
복소수의 극형식(절대값, 편각(argument))
복소수는 극 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는 복소수Z의 크기(절대값)와 Z와 실수부가 이루는 각도(θ, 위상각(phase angle))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복소수 Z의 극형식이라고 한다.
복소수 Z의 크기(절대값)은 루트(x^2+y^2)으로, 크기만을 나타내는 실수이다.
복소수의 크기는 루트(복소수*켤레복소수)를 한 값과 동일하다.
Z와 실수부가 이루는 각도(θ )는 편각(argument)라고 하며, arg(z)로 나타낸다. 복소수의 편각도 복소수의 크기처럼 실수이다.
즉, x,y를 알고 있으면 복소수의 크기와 편각을 알 수 있다.
오일러 공식, 테일러 급수
⦟θ 는 e^jθ 이며 오일러 공식을 적용하면 위의 식처럼 나타난다.
이는 exp, sin, cos에 대한 테일러 급수에서 얻을 수 있다.
지수함수에서 x대신 jθ 를 넣고 삼각함수에서 x대신 θ 를 넣으면 아래처럼 식이 유도된다.
즉, 복소수의 크기와 편각을 알고 있으면, x,y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복소수의 계산
복소평면에서 볼수 있듯이 복소수는 평면 상의 한 점을 표현하기 때문에 복소수에 기하학적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복소수의 계산에 오일러 공식을 적용하면, 곱셈과 나눗셈은 아래와 같다.
즉, 곱셈을 할 경우 편각에 덧셈이 적용되고, 나눗셈을 할 경우 편각에 뺄셈이 적용된다.
'물리학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넬의 굴절 법칙 간단한 유도 방법 (3) | 2021.04.25 |
---|---|
전파의 속도 : 위상속도 vs 군속도( + 분산) (2) | 2021.04.25 |
광학의 분류 (0) | 2021.04.24 |
맥스웰 방정식, 쿨롱의 법칙을 통한 전기장의 가우스 법칙 유도 (0) | 2021.02.16 |
맥스웰 방정식의 적분형/미분형, 각 방정식의 의미 (1) | 202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