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21 QR 체크인, 흔들기 기능으로 빠르게 실행하기 코로나19로 인해 생활이 많이 바뀌었다. 그 중의 하나로 QR체크인을 꼽을 수 있다. 어디를 가든 QR코드를 인식해 나의 방문여부를 쉽게 등록할 수 있다. 하지만 매번 QR코드를 실행시키기가 귀찮다. 이럴때를 위해, 네이버 앱과 카카오톡에는 스마트폰을 흔들어서 QR코드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지금부터 그 기능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목차 1. 네이버 앱 QR 코드 2. 카카오톡 QR 체크인 쉐이크 기능 1. 네이버 앱 흔들어 QR체크인 열기 네이버 앱을 켠 상태로 휴대폰을 흔들어 QR체크인을 여는 설정을 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두번째 방법은 NA.기능을 쉐이크로 설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NA. 기능을 주로 사용한다면,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① QR 체크인 → 두번흔들어 QR.. 2021. 5. 29. 갤럭시 전화 단축번호 설정하기 스마트폰에 단축번호를 지정하는 기능은 간단하지만, 그 번호를 따로 검색하거나 외울 필요 없이 쉽고 빠르게 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갤럭시의 경우 00~999( 00, 1, 2, 3, ··· )번까지 단축번호 지정이 가능하다. 지금부터 단축번호를 지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목차 1. 단축번호 설정하기 2. 단축번호로 전화하기 3. 단축번호 확인하기/삭제하기 4. '0'번은 단축번호로 안되는 이유 1. 단축번호 설정하기 ① 숫자 꾹 누르기 단축번호로 지정하고 싶은 숫자를 꾹 눌러주면, 오른쪽의 그림에서처럼 해당 번호에 단축번호를 설정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지정]을 선택한다. 참고로, 11번에 단축번호를 지정하고 싶으면 첫번째 1번을 짧게 누르고 두번째 1번을 길게 누른다. ② 번호 선택하기 단축.. 2021. 5. 21. 주식용어 : 증자/감자(유상, 무상)알아보기 목차 1. 증자, 감자 개요 2. 유상증자 / 무상증자 3. 유상감자 / 무상감자 1. 증자, 감자 개요 주식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증자, 감자라는 용어를 심심치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증자, 감자라는 용어는 말 그대로, 자금이 늘어나는 것(증자), 그리고 자금이 줄어드는 것(감자)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증자와 감자는 아래와 같다. - 증자 : 주식을 새로 발행하여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 - 감자 : 기업의 규모를 축소 또는 합병할 때 자본금을 줄이는 것 그렇다면, 유상증자/무상증자 혹은 유상감자/무상감자라는 용어는 언제 쓰이는 걸까? 2. 유상증자 / 무상증자 앞서 언급했듯이, 증자는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돈을 받고 파.. 2021. 5. 16. 키움증권(영웅문S) 시세 자동알림 설정하는 방법 목차 0. INTRO 1. 종목 → 시세알림 2. 알림조건 추가 0. INTRO 주식에 빠지다 보면 하루종일 주식 가격 변동만 보게 될 때가 있다. 아무래도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나의 주식 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가 없다. 그렇다고 하루종일 보고 있는 것은 일상 생활에 자징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자동알림 설정 기능이 존재한다. 1. 종목 → 시세알림 자동알림 설정은 [시세알림]기능에서 가능하다. 키움증권을 기준으로, 원하는 종목을 선택하고 해당 종목의 [시세알림]을 선택한다. 2. 알림조건 추가 [시세알림] 기능은 말 그대로 종목의 시세가 변함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맞추어 자동으로 푸쉬알림을 주는 기능이다. [알림조건 추가]를 선택해서 현재 목표가, 목표 등락률(%), 거래량,.. 2021. 5. 16. 주식 용어 :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상한가, 하한가, 거래량 알아보기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상한가, 하한가 등의 가격을 나타내는 주식용어는 사실 주식을 사고 파는데에 있어서 꼭 필요한 내용은 아니다. (단지 현재가만으로 사고 파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주식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체계적으로 하기 위한 가장 첫걸이라고 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내용이다. 키움증권의 '영웅문S'의 화면을 보면서 용어들을 확인해보자. 목차 0. 주식의 시세를 나타내는 용어 1. 매매 시점에 따라 : 시가, 현재가, 종가 2. 매매 금액에 따라 : 고가, 저가 3. 기준가 대비 상하한폭 제한에 따라 : 기준가, 상한가, 하한가 0. 주식의 시세를 나타내는 용어 주식의 시세는 주식 거래 현황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시세는 3가지 기준에 따라 1) 매매 시점에 따라 (시가, 현재가, .. 2021. 5. 16. 대용금 알아보기 : 증거금 대신 사용 가능 *참고하면 좋은 내용 예수금, 증거금, 증거금율, 미수금, 반대매매 알아보기 목차 1. 대용금 간단정리 2. 대용금 상세(강제청산, 비율) 1. 대용금 간단정리 대용금은 내가 가진 주식이나 채권을 담보로 주식 주문시 현금(예수금) 대신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한다. 즉, 내가 가진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그 돈으로 더 많은 주식을 구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통 대용금은 전일 종가(종료가)의 70~80% 수준이 된다. 예를 들어서, 내가 가진 주식의 전일 종가가 100만원이고 대용금 비율이 70%라고 하면 현금이 전혀 없어도 대용금 70만원이 있다고 계좌에 나온다. 그리고, 이 대용금을 사용해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다. 2. 대용금 상세(강제청산, 비율) - 강제 청산 대용금은 주식을.. 2021. 5. 15. 예수금, 증거금, 증거금율, 미수금, 반대매매 알아보기 목차 1. 예수금 2. 증거금, 증거금율 3. 미수금, 반대매매 1. 예수금 주식거래를 함에 있어서 예수금의 의미는 계좌에 입금한 금액중 매매결제에 사용하지 않은 금액이다. 증권사의 입장에서보면 거래를 진행하기전에 "미리 받아 놓은 돈", 고객의 입장에서는 거래할 것을 예상하고 "미리 맡겨놓은 돈" 이다. 따라서, 고객의 입장에서는 "예치금"이라는 용어가 조금 더 적절하다. 정리하면, - 주식 거래에 사용하기 위해 증권계좌에 미리 넣어둔 돈 - 고객입장에서는 예치금 예수금을 사용해서 주식을 구매할수 있다. 하지만, 실제 거래에서는 증거금, 대용금 등을 예수금 대신 사용 가능하고 따라서, 내가 입금한 금액보다 더 많은 주식 구매가 가능하다. 참고로, 예수금으로 주식을 구매하거나 팔았다고 해서 돈이 바로 빠.. 2021. 5. 15. 주식 매도 후 출금(이체)가능 시간, 즉시(당일) 출금하는 방법 목차 1. 주식 매도 후 출금(이체) 2. 매도 후 즉시(당일) 출금하기 1. 주식 매도 후 출금(이체) 주식을 매도한 후 돈을 출금하려고 했을 때, 원칙적으로 당일 출금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주식 매도 후 D+2일 즉, 이틀뒤에야 출금이 가능하다. 월요일에 매도를 했다면 수요일에, 목요일에 매도를 했다면 월요일에, 금요일에 매도를 했다면 화요일에 출금이 가능하다. 사실, 매도뿐만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주식 거래는 D+2일에 거래가 이루어진다. 매수를 했든, 매도를 했든 두가지 경우 모두 이틀이 지나야 돈이 정산된다. 주식 매수, 매도에 이틀의 여유를 주는 이유는 주문 실수나 착오들을 검토하고 전산으로 넘기기 위함이라고 한다. 실제로 거래 체결이 됐지만 이틀이 지나기 전에 사기로 판명되어 거래가 취소.. 2021. 5. 14. 카카오톡 대화내용 새 스마트폰으로 옮기기 목차 0. INTRO 1. 카카오톡 대화 백업하기 (무료) 2. 카카오톡 대화/비디어 백업하기(톡서랍 플러스, 유료) 3. 카카오톡 데이터 복구하기 0. INTRO 스마트폰을 바꿀 때, 카카오톡의 대화창에 있는 대화내용과 사진들을 가져가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카카오톡에서는 자체적으로 대화/미디어를 백업 및 복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카카오톡에서 백업을 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① '대화'만 백업하는 것과 ② '대화' + '미디어'를 동시에 백업하는 것이다. 지금부터 이 기능들에 대해 알아보자. 1. 카카오톡 대화 백업하기 (무료) 카카오톡에서 '대화 백업'은 무료이다. 1) 더보기 → 설정 [더보기]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보이는 톱니바퀴(설정)를 누르면 [설정]화면을 볼.. 2021. 5. 7.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 728x90 반응형